안녕하세요. 제가 조교할때 학부생들 채점하면서 봤던 귀무가설 문장이었어요. 만약에 학생이, 이 문장이 왜 틀렸냐고 한다면 어떻게 설명해줄 수 있을까요? 가설검정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해서 이렇게 적었던것 같아요?  

 

이 문장이 왜 틀렸는지정도만 간략하게 여기에 적어볼게요. 만약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은 유튜브를 참고해주세요~ 

 

https://youtu.be/mXlBtzYfAcU

 

Hypothesis Testing, 즉 가설검증은 가설(Hypothesis)을 통계적인 방법으로 검정(Testing)한다라고만 이해한다면 중요한 내용이 싹 다 빠졌어요. 이렇게 이해하면, 저 귀무가설이 왜 틀린지 설명할 수 없답니다. 여기에 모집단, 모수 등의 통계 용어가나오게 되는데요. 이 용어도 정확하기 이해를 못하면 가설검증도 이해할 수 없어요.

 

모집단의 모수가 얼마다 된다는 주장(가설)으로, 이를 검증하기 위해 표본 데이터를 통해서 가설이 합당한지 판정하는 과정을 말해요. 아니 이게 무슨 소리냐고요? 그럼 더 자세히 설명해보겠습니다. 모집단(Population) 우리가 알 수 있나요? 알 수 없어요. (왜 모르지? 하면 유튜브 참고해주세요) 우리가 이 모집단에 대해, 이 모집단을 설명해줄 수 있는 모수에 대해서 서로 상반되는 두 문장을 정합니다. 이게 귀무가설가 대립가설이예요. 뭐 그냥 짧게 A와 B라고 할게요. 이 문장에 대해 우린 어느게 맞는 말인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런데 모집단을 다 구할 수 없으니까 표본 즉 샘플 데이터를 구하게 되죠. 그런데 샘플을 구할 때마다 통계치가 매번 달라지잖아요. 그래서 우린 단순히 통계치에 대한 에러인지, 아니면 정말 모집단의 특징이 반영된 통계치가 나온건지 구분을 해야하죠. 

 

자, 다시 가설로 돌아와서요. 모집단의 모수에 대해 설명하는 두 문장이어야 합니다. 그렇다면 문장 안에, 모집단에서 나오는 모수가 들어가야할까요? 아니면 표본에서 나오는 통계치에 대해 들어가야할까요?  

 

당연히!!! 모집단을 설명하는, 모수에 대한 식이어야 하겠죠!!!  우리 모집단은 그리스어로 적게 되죠. 알파벳으로 적는건 샘플을 통해 얻은 통계치일 경우에 적게 됩니다. 그래서 귀무가설이 그리스어로 적혀있는게 아니라서 틀린 문장입니다!!! 

 

 

기본 용어

https://youtu.be/_9iPCoB6AcM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