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S Base, A00-211 Crambible

SAS 베이스 자격증 문제풀이  

QUESTION NO: 2


The following GAS program is submitted: 


data work.empsalary;
set work.people (in = inemp) 

work.money(in = insal);

if insal and inemp; 

run;


The SAS data set WORKPEOPLE has 5 observations, and the data set WORKMONEY has 7 observations. How many observations will the data set WORK.EMPSALARY contain?


A. 0 

B. 5 

C. 7 

D. 12



문제에서 workpeople에는 5개의 observations이, workmoney에는 7개의 observations 있는데~ 이 둘을 합쳤을때, if insal 과 inemp 값이 모두 1일때의 observation이 몇개일까~란 질문인데요. 가장 중요한 점은 in=inemp, in=insal 이 뭘 의미하는지, 그래서 if insal=1, 그리고 if inemp=1 일때의 상황을 살펴봐야겠죠. 



두 데이터를 set이라는 명령어로 합치게 될때 임시적인 variables이 생성되는데요. 그러니까 데이타가 어디에서 왔는지 표시하는거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물론 output에서는 이 variable이 표시되진 않습니다. 


 그러니까 work.people에서 온 데이타는 "inemp"라는 variable에서 1로 표시가 되고, 여기에서 온 데이타가 아니게되면 0이라고 표시됩니다. 반면, work.money라는 데이타에서 오게되면 "insal"이라는 variable 값이 1, 여기에서 온 데이타가 아니게되면 0 이라는 값을 가지게 되는거죠. 


이때, inemp, insal 모두 1을 가지게 된 값은 몇개냐고 물었는데, 이에 해당하는 데이타가 없어서 정답은 A가 되겠습니다. 


Answer: A

반응형

SAS Base, A00-211 Crambible,

SAS 크램바이블, SAS 베이스 자격증 문제풀이   



QUESTION NO: 1


The SAS data set SASUSER.HOUSES contains a variable PRICE which has been assigned a permanent label of "Asking Price". Which SAS program temporarily replaces the label "Asking Price" with the label "Sale Price" in the output?


A. proc print data =sasuser.houses; label price = "Sale Price"; run;
B. proc print data =sasuser.houses label; label price "Sale Price"; run; 

C. proc print data =sasuser.houses label; label price = "Sale Price"; run; 

D. proc print data =sasuser.houses; price = "Sale Price"; run;



Asking Price를 Sale Price로 일시적으로 변경을 하고싶을때 어떤 보기를 사용하면 되는지에 관한 질문입니다.  


proc print 와 run 사이에 label을 넣어주는데요. SASUSER.HOUSES라는 데이터를 가져와서 이 label을 설정하는데 이 price라는 variable을 Sale Price로 하겠다~라고 하는 답변을 찾으면 되겠네요. 


답: C


proc print data = x label;

        label x = "new name";

run; 


반응형

정말 제가 사랑하는 사이트, https://flipboard.com!! 플립보드 


여기 가입할만 합니다. 진짜 강추 정말 강추! 대놓고 강추하는 사이트예요. 


맞춤형 뉴스 서비스!라고 하면 될까요? 관심주제 설정하면 그 내용 위주로 보여주는데요. 물론 비슷한 컨셉의 다른 사이트도 있지만 제일 깔끔해서 하루에 한번 찾아가서 봅니다. 그런데 뭐 제 관심주제는 매일 업데이트되진 않더라고요. 하하ㅠ 


뭐 다른 분들은 스마트폰으로도 보고 하시겠지만 전 걍 공부나 일 하기 전에 사이트접속해서 30분 정도 휘리릭 보고 나와서그런지 RSS로 구독까지는 안하고요. 특히 전공관련 설정해놓으면 좋아요. 좋습디다. 이해가 잘 안가는 부분도 있긴 하지만 뭐 언젠간 이해가려니..생각하면서 보고 있습니다! 



반응형

마크다운에 대해 알기 전엔 LaTex로 힘들게 과제 제출했는데요. 물론 LaTex도 사랑합니다. 하지만 수학적인 기호를 편하게 사용한다는거 이외에는 별 장점을 느끼진 못했어요. 그런데 마크다운(Markdown) 이런 신세계를 왜 이제서야 알았는지 이제까지 블로그 작업한게 너무 아까울 지경이었어요. 마크다운으로 했으면 훨씬 예쁘게 정리했었을텐데... 



온라인으로 에디팅하는 곳 많은데요. 가장 유명한곳 두 곳만 정리해봅니다. 

사실 온라인으로 하기 전엔, MacDown (맥다운) 다운받아서 썼는데요. 이것도 필요 없는것 같아요. 어짜피 온라인에서 훨씬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굳이 다운까지 받을 필요가 있나 싶어요. 제가 아직 잘 몰라서 그럴수도 있습니다. 




http://dillinger.io

사이트는 아래처럼 보이는것과 같고요. 뭐 괜찮습니다. 군더더기없이 깔끔한 느낌이예요. 하지만 제가 여길 버리고 다른곳을 간 이유가 있습니다.





https://stackedit.io/ 

여길 사용하는 이유는 가장 단순합니다. 바로 구글블로그와 연동된다는거 두둥!!!! 


Hello라고 적힌 부분이 제목이고요. 원하는 내용 적은다음에~  


바로 왼쪽 위에 # 버튼 클릭하게되면 아래처럼 리스트가 촤르륵 뜹니다. 거기에서 Blogger하면 게시글이 업로드 되고요. Blogger Page라고 하면 페이지부분으로 업로드됩니다. 구글블로그 하시는분은 게시글과 페이지 글의 다른점을 잘 아실테니 패스합니다. 

정말 이건 신세계예요!!!!!!! 별표 백만개!! 


아 중요한건 마크다운확장자로 올리는게 아니라 html형식으로 클릭한 뒤 올리면 됩니다. 





블로그보면 깔끔하게 코드랑 내용 정리한걸 볼 수 있는데요. 이게 마크다운이었다는거. 컴퓨터전공자가 아니기에 이런건 몰랐거든요. 

이제라도 알았으니 다행이다...라고 위로하면서~



물론 WordPress는 마크다운을 지원해서 이런 과정이 필요없이 그냥 마크다운 내용을 올리면 되고요. 구글블로그는 지원하지 않아서 마크다운을 html 형식으로 변동시킨뒤 업로드하면 되는거래요. 단 CSS에 마크다운 지원해주는 자바스크립트를 넣어줘야하는데 전 정확히 어떤걸 넣어서 된건지는 잘 모르겠어요. 템플릿에도 넣고, 고급환경에서도 CSS추가하고 여러가질 해서요. 이럴땐 컴퓨터 잘 모르는 제가 미워집니다ㅠ 


암튼 티스토리에도 마크다운이 잘 되는지 한번 시도해보려고요.!!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드리는것 같습니다. 


컴퓨터 전공자가 아닌 사람으로, GitHub를 이용하려니까 머리가 팽글팽글 도는것 같아서 공유할겸 블로그 포스팅합니다. 

어딘가에 저같은 분이 계실꺼라 생각하며... 


전문지식이 있어야 좀 깊이있는 포스팅이 나올텐데, 제가 일단 많이 모르니 제가 알게된것만 짧게 정리해서 올리겠습니다. 



일단 GitHub(깃헙? 깃허브?) 가 어떤곳인지는 잘 아실테고요. 검색하면 어떤 곳인지, 가입방법 잘 나와있더라고요. 

프로그래밍 배우면서 정리도 하고, 이제까지 했던 프로젝트를 리뷰하면서 다시 정리해보고 싶어서 가입했습니다. 

꾸준히 관리하면 나름 포토폴리오로 쓰이지 않을까란 생각이 들어서요. 



Repository(원격저장소)에 Python 폴더를 하나 만들었고요. 




보면 하나 만들어져있죠. 이제 하나씩 파일을 올리려고 하는데~ 





Python 을 클릭해서 보면 Readme.md 라는 파일이 보입니다. 여기에 이 폴더가 뭔지 간략하게 설명을 올릴 수 있어요. 




이 README.md파일을 클릭하게되면 아래처럼 내용이 뜹니다. 

그런데 글씨도 크고 보기가 안 예쁘네요ㅠㅠ 수정표시 버튼 눌러서 수정해봅니다. 




이건 수정한 후 모습인데요. 훨씬 보기가 깔끔해졌죠. 




md라는 확장자명이 바로 마크다운인데요. 전 이것도 이번에 알게 됐습니다. -_-;; 

저처럼 잘 모르시는 분은 online markdown editor 라고 검색하시면 되고요. 제가 이용한 사이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이미지에서 세번째 링크 클릭한거고요~ 

왼쪽은 마크다운 데이터고 오른쪽은 GitHub에서 보여질 화면입니다. 

형식에 맞춰서 쓰면 바로 오른쪽으로 화면으로 보이니까 어딜 수정해야할지 눈에 확확 잘 보이고요. 이모티콘도 쓸 수 있습니다. 

다 썼으면 왼쪽내용 복사해서 GitHub의 README.md 수정파일에 붙여넣기하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마크다운에 관한 유용한 사이트는 따로 포스팅할게요. 


반응형

+ Recent posts